교컴로고초기화면으로 header_kyocom
교컴메뉴
교컴소개 이용안내 소셜교컴 나눔마당 배움마당 자료마당 교과마당 초등마당 특수마당 글로벌교컴 온라인프로젝트학습 교컴 UCC
회원 로그인
정보기억 정보기억에 체크할 경우 다음접속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러나, 개인PC가 아닐 경우 타인이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PC를 여러사람이 사용하는 공공장소에서는 체크하지 마세요.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서 로그인하시면 별도의 로그인 절차없이 회원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컴 키우기 자발적 후원


:::: 교컴가족 로그인(0)

  • 주간 검색어
  • 현재 검색어
  1. 생활기록부 예시문
  2. 인성
  3. 고사성어
기간 : 현재기준

교컴 포토갤러리

교컴지기 칼럼

[신간안내] 교사, 학습공동체에서 미래교육을 상상하다(함영기 지음)
교육의 주체가 그들의 언어로 미래교육을 상상하는 이야기


‘교사로 살기’에 관한 고백적 서사

교컴지기 | 2015.11.12 17:52 | 조회 7165 | 공감 0 | 비공감 0

서평

‘교사로 살기’에 관한 고백적 서사

 

함영기_서울교육연수원 교육연구관

 

교사가 교사에게



이성우 지음, 우리교육(2015)

 

평범한 상식을 다시 묻기, 사랑으로 가르치기

 

이성우의 ‘교사가 교사에게’는 한 교사의 교육적 실천에 대한 자기 고백적 서사이다. 동시에 실천적 고백과 교육적 맥락을 부단히 연결하고자 힘쓴 글이다. 교사 이성우는 현장 경험에 기초하지 않은 이론과, 그저 경험으로 그치는 실천에서 필연적으로 드러나는 분리를 극복하고자 했다. 그래서 이 책은 교사들에게 반가운 책이다. 그러므로 제목을 ‘교사가 교사에게’로 정한 것도 맞춤하다. 이론과 실천을 연결 짓는 글은 이론 혹은 실천만을 기술하는 것보다 훨씬 어렵다. 교사로서 본인의 실천에 이론적 맥락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많은 공부가 필요하다. 혹자는 생생한 실천이야 말로 어떤 이론보다 귀하다고 얘기하지만, 좋은 이론에서 좋은 실천이 나오고 실천의 방향이 바로 잡힌다. 그동안 실천과 유리된 이론을 많이 접한 탓에 이론에 대한 불신이 있을 수 있지만, 교사들은 지금보다 훨씬 더 많은 이론 공부를 해야 하고 그 속에서 자신의 실천을 냉정하게 검증해야 한다. 이 책의 전체 짜임은 저자의 교육 경험과 실천이 먼저 나오고 이를 교육학적 시선으로 다시 바라보며 분석하는 형태로 구성돼 있다.

 

“학생을 사랑하는 마음과 학생들에게 최선의 가르침을 위해 노력하고자 하는 그 열의가 교사 존재론의 알파이자 오메가인 것입니다. 그 밖에 모든 것은 다 부차적인 문제일 뿐입니다.” (44쪽)

 

이 책의 부제이기도 한 ‘교사는 무엇으로 사는가?’라는 물음에 대한 저자의 답이다. 이 물음에 저자는 ‘사랑’과 ‘가르침’으로 답한다. 지극히 상식적이다. 그러나 이 상식이 그동안 현장에서 종종 왜곡돼 왔음을 기억한다면 비상식을 상식으로 만들자고 하는 저자의 제안은 충분히 타당하다. 비상식의 처음은 가르침을 위해 노력하지 않고 승진에 목매는 풍경이다. 저자의 경력으로 보아 승진을 위해 힘쓰는 동료들을 꽤 경험했을 법 하다. 외재적 동기보다 내재적 동기에 충실하게 반응하자는 것, 그것은 곧 아이들을 사랑하는 마음, 그 마음을 가르침으로 연결하자는 것이다.

 

대립물을 바라보는 질적 시선

 

저자는 처음부터 끝까지 상호 대립하는 두 가지 개념을 붙여 자신의 교육관을 피력한다. 가령 놀이와 학습, 권위와 허용, 진보와 보수, 이론과 실천, 비움과 채움, 가르침과 배움, 나와 너, 아폴론(이성)과 디오니소스(감정) 등이 교육적 상황과 맥락 안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 추적하는 일이 그것이다. 어느 한편을 옹호하거나 배척하는 것이 아니라 대립물이 어떻게 갈등하면서 발전하는지를 풍부하게 보이고 있다. 여기서 저자의 공부 깊이가 드러난다.

 

“통합적 관점으로 학생을 바라보는 교사는 리더십이 강한 반장 아이의 빛나는 자질의 이면에 있는 잠재적 독재성을 간과하지 않으며, 소심한 성격의 아이에게 아직 발현되지 않는 빛나는 장점을 발굴해 용기와 희망을 불어넣으려는 시도를 할 것입니다.” (111쪽)

 

이 한 문장에서 교육 현상을 볼 때 눈에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을 동시에 보려 하는 저자의 교육관과 아동관을 살펴볼 수 있다. 논리 실증주의자들이 교육 상황과 맥락에서 종종 외면하기 쉬운 ‘질적 시선’이다. 아이즈너는 아이를 바라보는 질적 시선을 ‘미학적 감식안’이라 하였다. 학교에서 일어나는 교육 실천이 예술 작품을 탄생시키는 과정과 다를 것이 없다는 것이다. 말하자면 교사는 예술가의 눈으로 아이들을 바라보는 사람이다.

 

“남다른 감수성을 가졌으되 맹목적 학력 신장에는 관심을 보이지 않는 삐딱한 아이들은 혹 모차르트와 같이 이 다음에 훌륭한 예술가로 성장할 잠재성이 있는 아이로 봐야 합니다... 모든 아이에게 똑같이 학업성적만을 강조하는 교육 시스템은 잠재적 예술가를 잃는 동시에 잠재적 파괴자를 만들어 내는 점에서 이중적인 사회적 손실을 낳는다 하겠습니다.”(206쪽)


과학적 교수기법을 신봉하는 교사는 하나의 제품을 완성해 가는 과정으로 교육 실천을 사고할 것이다. 제품을 만들어 내는데 필요한 기술이 향하는 곳은 ‘불량품이 없는 표준적 결과’일 것이다. 그것에 반해 예술 활동은 하나하나의 작품에 혼을 불어 넣는 과정이다. 아이들을 작품으로 볼 것이냐, 제품으로 볼 것이냐에 따라 교사의 가르침도 달라질 것이다. 저자가 가진 이러한 예술적 감각이 초등교사에게 필요한 섬세함으로 나타나고 있다.

 

스스로를 소모하지 않는 이가 좋은 교사

나는 현장교사 시절 교사문화의 중요한 영역 중 하나인 '남교사 모임'에 나가지 않았다. 이 책을 보니 '학교 친목회에 재미 붙이지 말기 바랍니다'(34쪽)란 글이 있다. 그래서 잠시 웃었다. 제목만 보고도 두 가지 맥락을 읽었기 때문이다. 하나는 공부하는 교사들은 시간이 많이 부족하여 소모성 약속을 잡지 않으려 노력하는 편인데, 친목회 등을 소모적 시간 낭비라고 보았구나 하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이른바 사적 관계와 공적 영역에 대한 저자 나름의 생각이 확실하게 틀 잡혀 있구나 하는 것이었다. 그것 외에도 저자는 좋은 교사가 되기 위해 하지 말아야 할 것으로 페이퍼 워크에 너무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이지 않을 것을 주문한다. 이런 저런 보고서를 빠른 시간에 잘 써내는 교사가 유능한 교사로 호명되는 세태를 역설적으로 꼬집고 있는 것이다.

 

운동, 관계로 풀기

 

114쪽부터 나오는 '진보와 보수 : 전교조의 명암' 편에는 전교조를 향한 결기어린 비판이 나온다. 언젠가 블로그를 통해서 한 번 보긴 했지만 전교조의 조직문화와 관행에 대한 서늘한 지적과 비판이 이어진다. '전교조 정파(저자는 종파 패거리로 표현)‘ 활동을 열심히 해 온 교사들은 이 글을 보고 어떤 반응을 보일지 궁금하다. 조직문화에 대한 지적과 비판 자체는 충분히 의미가 있다. 경청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다만, 미리 예측을 좀 해보자면, 저자의 이런 주장에 대한 반응은 크지 않을 것이라 본다. 그렇게 대응하지 않는 것이 운동에서 정파 활동의 특징이기도 하고, 어떻게 보면 그것이 전교조를 포함한 현 시기 '조직 운동'의 한계이기 때문이다. 혼돈과 진통의 시기를 거치면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반영하는 교육운동의 모습이 어떠해야 할지 그림이 그려지지 않을까? 내 생각에 지금은 그런 시기이다. 저자는 이 과정이 사람과 사람 간의 '관계' 속에서 형성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나는 요즘 당장 교실에서 쓸 맞춤형 수업자료 혹은 방법을 기술한 책을 편식 독서하는 많은 교사들에 대한 아쉬움을 가지고 있다. 단기간에 교사로서 전문성을 신장하려는 시도가 오히려 탈전문화의 길을 걷게 하는 형국이라고나 할까? 단적으로 말하여 ‘교사가 교사에게’는 탈전문화의 길을 전문성 신장이라 착각하는 교사들이 정독해야 할 책이다.

 

함영기

서울교육연수원 교육연구관 webtutor@sen.go.kr

 

사춘기 아이들과 30년을 지냈다. 교사공동체 ‘교컴’을 18년 동안 이끌었다. 올 3월 서울교육청의 교육연구관으로 전직하여 서울교육연수원에서 바람직한 교사교육의 방향과 내용을 고민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교사의 성장은 잘 구조화된 연수가 아니라 좋은 책, 좋은 사람, 좋은 대화에서 나온다고 믿고 있다. 

좋아요! 싫어요!
twitter facebook me2day
613개(9/21페이지) rss
교컴지기 칼럼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교컴지기 새책] 교사, 학습공동체에서 미래교육을 상상하다 사진 첨부파일 교컴지기 42534 2023.02.19 07:04
공지 [교컴지기 신간] 교사, 책을 들다 사진 [1] 교컴지기 62493 2021.06.26 14:17
공지 [신간] 아이들은 한 명 한 명 빛나야 한다 사진 첨부파일 [1] 교컴지기 89677 2019.10.23 16:05
공지 교컴지기 일곱 번째 단행본 '교육사유' 출간 사진 첨부파일 [18+16] 교컴지기 164225 2014.01.14 22:23
공지 교육희망 칼럼 모음 사진 교컴지기 146321 2013.05.09 23:21
공지 오마이뉴스 기사로 보는 교컴지기 칼럼 모음 사진 교컴지기 150616 2012.11.15 14:23
367 [교육과정] 여전히 답답한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이해 교컴지기 7464 2015.11.30 11:23
366 [교육사회] 교양없음을 발견하고 폭로하기 교컴지기 6143 2015.11.21 07:27
365 [교육과정] 역사교과서 국정화 추진의 논거와 쟁점(종합) 교컴지기 6453 2015.11.15 05:53
364 [교사론] 교사의 마음으로 전문직을 한다는 것 교컴지기 8109 2015.11.15 05:47
363 [교사론] 전달을 넘어 공감을 이끌어 내는 강의 교컴지기 5595 2015.11.15 05:46
362 [교수학습] 교사가 정답을 물으면 학생은 생각을 멈춘다 교컴지기 7814 2015.11.15 05:44
361 [교육과정] 즐기고, 느끼고, 공감하고, 이해하는 교육 교컴지기 5990 2015.11.15 05:43
>> [책이야기] ‘교사로 살기’에 관한 고백적 서사 사진 첨부파일 교컴지기 7166 2015.11.12 17:52
359 [교수학습] 눈에 보이지 않는 학습효과에 대한 믿음 교컴지기 5868 2015.11.08 07:50
358 [교사론] 초임 선생님들께 [2] 교컴지기 7856 2015.11.06 13:26
357 [사회문화] 자녀의 성공을 위해 당신의 삶을 유보하지 말라 [2+1] 교컴지기 6648 2015.10.30 12:51
356 [교육과정] 인성교육, 민주시민교육, 세계시민교육, 그리고 역사교과서 국정화 [1+1] 교컴지기 9156 2015.10.24 15:33
355 [교육과정] 역사교과서 국정화와 2015 개정교육과정 교컴지기 6956 2015.10.24 08:59
354 [교육과정] 무리한 국정화 추진, 과연 그들에게 이익이 될까? 사진 교컴지기 6954 2015.10.22 09:28
353 [교육과정] 역사교과서 문제, 철지난 이념대결을 극복하는 길 교컴지기 5860 2015.10.17 04:51
352 [교수학습] 배우기 위해 따라야 할 방법은 없다. 교컴지기 6288 2015.10.08 12:24
351 [교사론] 자기연민과 허무를 딛고 일어서는 시간 교컴지기 5794 2015.09.14 09:37
350 [교원단체] 교컴 역사 속으로, 프롤로그 첨부파일 교컴지기 7159 2015.08.30 05:14
349 [교사론] 들어가기, 나오기, 거리두기 [2+1] 교컴지기 7009 2015.08.23 11:46
348 [교육과정] 바른 인성을 갖춘 창의융합적 인재, 모순적이며 기능적임 교컴지기 8233 2015.08.19 17:26
347 [교육사회] 세상은 우리에게 읽고, 쓰고, 말하라 한다 교컴지기 6023 2015.08.01 20:49
346 [교사론] 내 안의 욕망 VS 타인의 기대 교컴지기 5993 2015.08.01 20:48
345 [교수학습] 내가 배우지 않은 방법으로 가르치기 교컴지기 5782 2015.07.24 15:47
344 [교수학습] 고등학교의 몰아치기 수업은 대학입시가 원인? 교컴지기 6686 2015.07.07 10:38
343 [교사론] 사실입니까, 바람입니까? 사진 교컴지기 7547 2015.06.21 19:29
342 [사회문화] 소통에도 밀도가 있다? [1] 교컴지기 5754 2015.06.18 15:32
341 [교사론] 가르치는 자로 사는 방법, 평온한 인내 교컴지기 6534 2015.06.09 09:14
340 [사회문화] 통제 능력이 없는 시스템이 더 공포다 교컴지기 5830 2015.06.03 08:18
339 [교육정책] 초등교사 선발을 대폭 축소한단다 교컴지기 13318 2015.05.29 09:04
338 [교수학습] '질문이 있는 교실'과 민주적 수업문화 사진 교컴지기 11386 2015.05.28 1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