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컴로고초기화면으로 header_kyocom
교컴메뉴
교컴소개 이용안내 소셜교컴 나눔마당 배움마당 자료마당 교과마당 초등마당 특수마당 글로벌교컴 온라인프로젝트학습 교컴 UCC
회원 로그인
정보기억 정보기억에 체크할 경우 다음접속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러나, 개인PC가 아닐 경우 타인이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PC를 여러사람이 사용하는 공공장소에서는 체크하지 마세요.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서 로그인하시면 별도의 로그인 절차없이 회원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컴 키우기 자발적 후원


:::: 교컴가족 로그인(0)

  • 주간 검색어
  • 현재 검색어
기간 : 현재기준

교컴 포토갤러리

수학

[수학] 정사면체 구조물 파도 와도 거뜬

함영기 | 2004.10.06 08:50 | 조회 8847 | 공감 0 | 비공감 0

\"\"

\"\"


바닷가에 가면 파도를 막기 위해 설치해 놓은 여러 개의 구조물이 눈길을 끈다. 네 개의 가지가 하나의 중심에서 뻗어 나간 모양으로 테트라포드(tetrapod)라고 불린다.(그림 1) 네 개의 가지 중 세 개가 바닥에 닿기 때문에 우리말로 ‘삼발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관찰하고 추측하기

1. 그림을 그릴 때 화판을 받치는 삼각 모양의 틀(이젤)은 다리가 세 개다. 마치 세 개의 다리가 한 지점에서 모인 모습이다. 이 세 개의 다리는 지면의 굴곡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그림 2) 이런 모양의 생활용품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지게, 카메라 삼각대, 측량에서 쓰이는 삼각다리 등이 있다. 물체가 안정적이기 위해서는 다리가 최소한 세 개가 필요한 걸까?

2. 테트라포드를 잘 살펴보면 정사면체의 무게중심과 각 꼭지점을 네 개의 선분으로 연결한 모양이다. 이 선분들의 결합으로 얻어지는 네 개의 각(결합각)은 약 109.5도이다. 그런데 가운데 검은 부분을 탄소(C), 네 개의 흰 부분을 수소(H)라고 하면 메탄(CH)의 분자구조가 된다.(그림 3) 테트라포드 모양은 왜 정사면체 구조를 닮았을까? 방파제를 보호하고 파도나 해일을 막아 내려면 구조물이 잘 굴러가지 않아야 하고 무게중심이 아래에 있을수록 좋다. 수학적으로 공간을 빈틈없이 채울 수 있는 정다면체는 정사면체와 정육면체이다. 정사면체의 무게중심이 정육면체의 무게중심보다 아래에 있어서 더 안정적이다.

조금 더 생각하기

1. 정사면체 모양을 구성하는 정삼각형 모양으로 재미있는 실험을 해 보자. 두꺼운 종이 위에 정삼각형 ABC를 그려서 오려 낸다. 두 변 AB, AC을 이등분한 점을 D, E라 하고 변 BC를 4등분한 점 중 꼭지점에 가까운 점을 각각 F, G라고 하자. 선분 DG와 선분 EF를 그려서 오려 내면 처음의 정삼각형은 네 개의 조각이 된다.(그림 4 ) 이 조각들을 다시 결합하면 사각형이 된다.(그림 5) 삼각형에서 사각형으로, 사각형에서 삼각형으로 변신이 가능한 셈이다.

2. 이번엔 정사면체 모양으로 재미있는 실험을 해 보자. 먼저 두꺼운 종이 위에 정삼각형 ABC를 그려서 오려 낸다. 두 변 AB, AC을 이등분한 점을 D, E라 하고, 선분 DE를 그은 뒤 잘라 내면 작은 정삼각형 한 개와 등변사다리꼴 한 개를 얻는다.(그림 6) 이런 과정을 세 번 반복한다. 또 선분 DE를 한 변으로 하는 정사각형 두 개를 더 그려서 오려 낸다. 이렇게 얻은 도형 중 정사각형 한 개, 정삼각형 두 개, 등변사다리꼴 두 개를 이어 붙이면 정사면체의 반쪽에 해당하는 입체도형을 한 개 얻는다. 이 과정을 되풀이 해 이런 입체도형을 하나 더 만든다. 이제 만들어진 두 입체도형을 서로 맞대어 보라. 잘 관찰하여 맞대면 어느 순간 두 개의 입체도형은 정사면체가 된다.(그림 7, 8)

김흥규/서울 광신고 교사 heung13@unitel.co.kr (한겨레 함께하는 교육)

좋아요! 싫어요!
twitter facebook me2day
339개(13/17페이지)
수학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수학] 재미있는 수학 이야기 첨부파일 [24] 146076 2004.09.26 19:21
공지 [추천] 수학 관련 영화 9편 [5] 교컴지기 238505 2012.05.09 18:30
공지 수학 선생님들을 위한 알짜배기 교수학습 자료 모음 [9] 교컴지기 156261 2013.06.14 09:09
96 [중2] [수학] 중2 수학 심화반 학습자료 첨부파일 함영기 8962 2005.04.25 19:13
>> [수학] [수학] 정사면체 구조물 파도 와도 거뜬 사진 함영기 8848 2004.10.06 08:50
94 [수학공통] [수학] 입사각 = 반사각 원리 이용한 쿠션당구 사진 함영기 17176 2004.11.15 12:05
93 [수학] [수학] 안팎없는 뫼비우스 띠의 마술 사진 함영기 8257 2004.10.11 08:15
92 [수학] [수학] 신장결석 치료에 타원 성질 응용 사진 함영기 12198 2004.07.06 07:48
91 [수학] [수학] 식물은 피보나치 수열로 통한다? 사진 함영기 9419 2004.05.11 07:44
90 [수학] [수학] 수학적 조화 빛난 올림픽 개막식 사진 함영기 6622 2004.08.23 06:13
89 [수학공통] [수학] 수학관련 사이트(미국) 함영기 7064 2005.05.17 09:25
88 [수학공통] [수학] 수학과에서의 ICT 활용교육 방법 첨부파일 함영기 11224 2002.05.08 06:24
87 [수학] [수학] 수학과에서 동영상 학습 컨텐츠 활용하기 첨부파일 함영기 6825 2004.06.12 11:32
86 [수학공통] [수학] 수학 용어사전(영문) 함영기 6846 2005.05.17 09:23
85 [수학] [수학] 수원 화성, 도형 반복의 아름다움 사진 함영기 8475 2004.08.16 06:42
84 [수학] [수학] 수열 찾아 보도블록 걸어볼까 사진 함영기 7052 2004.06.11 07:55
83 [수학공통] [수학] 복잡한 문제도 그래프로 해결 사진 함영기 7403 2004.11.01 08:14
82 [수학] [수학] 법주사, 수의 배열로 이룬 음양조화 사진 함영기 6789 2004.08.09 09:05
81 [수학] [수학] 미로, 출구 찾아가는 갈림길 사진 함영기 6822 2004.08.30 07:42
80 [수학공통] [수학] 미국 수학 중고등학교 문제집 [1] 함영기 11910 2005.04.20 09:37
79 [수학] [수학] 매는 왜 등각나선따라 먹이를 쫓나? 사진 함영기 7162 2004.09.21 16:04
78 [수학공통] [수학] 도형 안 도형 거듭제곱수로 늘어나네 사진 함영기 6951 2005.04.11 08:07
77 [수학] [수학] 달콤한 아이스크림 담는 원뿔 사진 함영기 7856 2004.06.14 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