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컴로고초기화면으로 header_kyocom
교컴메뉴
교컴소개 이용안내 소셜교컴 나눔마당 배움마당 자료마당 교과마당 초등마당 특수마당 글로벌교컴 온라인프로젝트학습 교컴 UCC
회원 로그인
정보기억 정보기억에 체크할 경우 다음접속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러나, 개인PC가 아닐 경우 타인이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PC를 여러사람이 사용하는 공공장소에서는 체크하지 마세요.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서 로그인하시면 별도의 로그인 절차없이 회원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컴 키우기 자발적 후원


:::: 교컴가족 로그인(0)

  • 주간 검색어
  • 현재 검색어
  1. 아동과 교육
  2. 진로
  3. 듀이 아동과 교육
  4. 시험감독
  5. 자유 역리
  6. 생활기록부 예시문 32
  7. 존듀이
  8. 자리배치 1
  9. 세특 2
  10. 이론 활동
기간 : ~
  1. 피터스와 듀이
기간 : 현재기준

교컴 포토갤러리

영어

[TIME] South Korea used manufacturing muscle...

함영기 | 2005.11.10 21:13 | 조회 10548 | 공감 0 | 비공감 0
\"\"
NAM-HUN SUNG / RAPHO FOR TIME 
SMILE: Fans at the Pusan film festival, a showcase for Korea\'s rising stars, snap photos of their idols on the red carpet

\"\"
Breaking Through
\"\"
\"\" \"\" \"\"
\"\" South Korea used manufacturing muscle to build a modern economy. Now it has started to focus on using its head \"\"
\"\" \"\" \"\"
\"\" \"\"
\"\" \"\"
\"\" \"\" \"\"
\"\"
\"\" \"\" \"\"

\"Email \"print\"emailSubscribe

Posted Monday, November 7, 2005; 20:00 HKT
The opening ceremony of the World Stem Cell Hub was held last month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in an aging lecture hall equipped with worn, wooden desks and iron reading lamps. While the setting was antiquated, the occasion was 21st century all the way. South Korea\'s stem-cell \"bank\" will offer cloned embryonic-stem-cell lines to researchers around the world hoping to devise revolutionary treatments for ailments such as diabetes and Parkinson\'s disease. The guests squeezed into the hall included South Korea\'s President Roh Moo Hyun and leading lights in the field of cloning and stem-cell research, such as Ian Wilmut, the British embryologist who cloned Dolly the sheep. The heady ambitions of this scientific enterprise were trumpeted on banners around the hall: \"Hope of the World. Dream of Korea.\"

The stem-cell bank made global headlines and that\'s a very Korean dream these days: to be recognized internationally as a country on the cutting edge, not a mere copycat manufacturer of VCRs and microwave ovens. As the port of Pusan, the nation\'s second-largest city, prepares to host the annual Asia-Pacific Economic Cooperation (APEC) summit this month, South Korea finds itself at a watershed moment between its past and future. The country\'s export-intensive postwar economic model, borrowed from Japan, delivered the robust economic growth that is one of the principal goals of APEC; by the time of the organization\'s landmark 1994 conference in Bogor, Indonesia, South Korea was on the brink of being recognized as a developed nation, defined as having per-capita income of $10,000. Today, the country is home to world-class technology companies (Samsung Electronics, LG Electronics), automakers (Kia Motors, Hyundai Motor), steelmakers (POSCO) and shipbuilders (Hyundai Heavy Industries). South Korea has become a land of bullet trains and microchip-controlled refrigerators for making kimchi.

But reliance on manufacturing and exports has also left Korea vulnerable to foreign competitors following the same blueprint—particularly China. The Asian financial crisis of 1997 brutally revealed the flaws in the South Korean economy—the sclerotic and secretive management practices of the family-dominated chaebol (business conglomerates); corruption and cronyism; and the fact that much of what the country produces is based on technologies invented in the U.S. or, even more ignominious, in Japan, its former colonial overlord. South Korea\'s economy grew by 4.6% last year and it\'s expected to slow to 4% this year, compared with 9% or higher in China.

The 1997 crisis helped convince many South Koreans that it isn\'t enough to be a \"developed\" follower of other countries\' ways. They are determined instead to create an advanced economy powered by their own inventions and talents. This business plan jibes perfectly with APEC\'s philosophy of breaking down barriers and opening up to the world, and that\'s a remarkable about-face for what has traditionally been a deeply insular nation, distrustful and resentful of the outside world. Koreans are now jetting everywhere, learning a host of foreign languages, investing everywhere from China and India to Turkey and the Philippines. Before 1989, the average citizen was only allowed a passport for government-approved business and family visits, and investing abroad was akin to treason. But innovation, openness and an eagerness to compete on the global stage—particularly in hot, fast-evolving fields such as I.T., biotech and entertainment—are now national mantras.

Switching to an unfamiliar economic game plan entails risks—but \"reckless\" and \"hasty\" are adjectives Koreans use with pride to describe themselves. \"Korea has not only the brains but the basic attitude,\" says Dr. Hwang Woo Suk, who conceived the World Stem Cell Hub last April and brought it to fruition in just six months. Patients suffering from spinal-cord injuries and Parkinson\'s find nothing hasty in that: last week, when the center started accepting applications for cell donations from people who might benefit from the research, its server nearly crashed from the overload. Listen to Hwang and there is no mistaking the sense of urgency fuelling this economic transformation: \"We have to find another kind of national growth engine.\"

 

Hardware is passé: China has the busy hands that will make the dolls and appliances that sell at Wal-Mart and Carrefour stores around the world. (Although branded and high-ticket items are still attractive: Samsung last month unveiled a two-meter-wide plasma television that retails for $124,000.) Korea\'s main natural resource is brainpower, and it\'s got more than its fair share: 97% of its youth make it to grade 10 of high school, the highest percentage in the world. Korean students\' math skills are second only to those of the Finns. When your people are as smart and educated as those in advanced countries, you can compete on the higher level of ideas and creativity.

One of Korea\'s hottest exports these days is entertainment—movies, TV programs, pop singers, Internet games—and that\'s a triumph of talent. An episode of the serialized television drama Jewel in the Palace scored Hong Kong\'s highest viewership ratings ever this year, and Chinese President Hu Jintao told a visiting South Korean lawmaker he\'s a fan. Jang Dong Gun, Korea\'s hottest leading man, is suddenly everywhere. After starring in last year\'s Taegukgi, a Korean War tear-jerker that broke box-office records at home, Jang is playing opposite Hong Kong star Cecilia Cheung in the big-budget U.S-Chinese-Korean co-production The Promise, which Beijing has picked as its contender for the Best Foreign Film Oscar.

The overseas popularity of such cultural exports has been dubbed the \"Korean Wave,\" and it\'s at its crest. In the first nine months of this year, 550,000 tourists visited South Korea on Wave package tours, which take them to locations where TV serials have been filmed. At any given hour, millions of people in China, Taiwan, Japan, Hong Kong and the U.S. are online playing Lineage, a computer game created by Seoul-based NCsoft. Singers such as Rain and BoA are white hot throughout Asia.

The overseas box office from South Korean films for the first six months of this year came to $42 million (up from $58 million for all of last year and $15 million in 2002), while computer-game exports are expected to reach $480 million (up from $376 million in 2004). That\'s still a pittance compared with the country\'s electronics exports, which are expected to top $100 billion this year.

But money isn\'t everything. Foreign Minister Ban Ki Moon says the Wave has brought South Korea long-overdue respect. \"Everybody knows we are the 11th-largest economic power in the world,\" he says. \"But we have 5,000 years of culture and this is not well known.\" Says Yang Kee Ho, a political-science professor at Seoul\'s SungKongHoe University: \"The Korean Wave shows we\'re not just a small country anymore.\"

Koreans also say their art reflects the country\'s unique sensibility. For one thing, familial relations are strongly portrayed in its dramas. Yun Suk Ho, director of four TV serials that have been smashes in Japan, talks of han, a Korean word for a deeply felt sense of oppression: \"Korean dramas express sadness particularly well. The writer of Autumn in the Heart would cry when writing his script. The actors, during rehearsals, started crying too.\" Shin Hyun Taik, a film producer who runs a government-funded foundation promoting cultural exports, emphasizes another aspect of han: a grudge mentality, with resentments directed at everyone from U.S. troops to Japanese politicians. \"A grudge is part of our national sentiment,\" he says. \"We have a talent for expressing this.\"

Shin worries that the Wave will subside. His solution: to aggressively court film industries in other Asian nations to join in co-productions and other cross-pollinations. \"We don\'t want to make the same mistake Hong Kong made,\" he says. \"The action flicks, the Jackie Chan movies, were great. But they didn\'t share with the rest of Asia and their wave ended.\" In other words, Korea simply can\'t go it alone in this business.

 

It\'s just past dawn on a Saturday morning and Hwang Woo Suk, the founder of the World Stem Cell Hub, is clad in surgical scrubs. He stands next to a full-term pregnant sow suspended upside down from the ceiling by a steel cable. \"Ready?\" he shouts to his operating team. Hwang makes a 30-cm slash in the sow\'s belly, thrusts in his arm right up to the elbow and withdraws the sow\'s womb, and within it, a shivering, black cloned baby pig. If the technology develops, the pigs may someday be used for xenotransplantation: their organs can be used as replacement parts for humans.

Hwang, 52, is a one-man parable of South Korea\'s coming of age. He was raised in poverty and, as a child, helped support his family by taking care of neighbors\' cows. He is a veterinarian by training—not a geneticist or biochemist—and his initial research in embryology was intended to help Korea develop cows that produced more milk. But he kept setting his sights higher: cloning a Holstein cow, piglets, cows resistant to mad cow disease. Hwang\'s research made mainstream news in May, when he announced that his lab had created 11 human stem-cell lines cloned from patients suffering from diseases such as diabetes. (In theory, those lines may be able to produce new, genetically identical cells to be used to treat patients.) Ten weeks later, he made headlines by unveiling Snuppy, the first cloned dog. \"Korea has a very distinct world lead,\" says British embryologist Wilmut. \"There\'s no one else who can produce stem cells from cloned embryos like they can—not by a large margin.\" Hwang shares his discoveries with colleagues around the world, partly to push the science faster—but also to ensure that his lab never finds itself out of the loop.

Hwang says he has no intention of cloning a human, which he suspects is technically impossible. But the changes he\'s trying to engineer for Korea are, in their own way, almost as revolutionary. \"We need a whole new paradigm, a fresh concept, to develop this country,\" he says. \"Ships and semiconductors were not Korean industries. We adopted those products from the outside.\" The way forward is to pursue technological innovations in a way that only Koreans can, Hwang says. \"We were conquered by Japan for 36 years,\" he explains. \"During the Korean War, so many people were killed.\" The result, he says, is a \"hungry, fighting spirit\" that other countries find hard to match. \"Our lab has been working 365 days a year for 15 years. This concentration and diligence were really needed. Western culture cannot understand and cannot endure the hardship. If we devote ourselves for a few more decades, I strongly believe we will develop one of the most advanced countries in the world. This is my dream.\"

Oh Yeon Ho wants to build a new Korea, too—after reducing an existing part to rubble. In 2000, he launched OhmyNews, an Internet news site with a singular twist: aside from its staff of 27 journalists, OhmyNews publishes articles by average folk, whom Oh labels \"citizen reporters\" or \"news guerrillas.\" The submissions, which are vetted and edited, pour in at a rate of 200 per day from 40,000 registered contributors. In addition, when an article appears on the OhmyNews website, netizens are encouraged to write their responses, which are posted prominently alongside the website\'s story—providing instant feedback and debate.

For all his talk of empowering average citizens, Oh is really trying to disempower another group: Korea\'s conservative mainstream media, which traces its clout to the dictatorial days of the past. Oh is very much of his generation: the anti-government student protestors of the mid-1980s who managed to rid South Korea of its dictatorships. He served a year in prison in 1988-89 after being charged with violating the country\'s infamous National Security Law, and his autobiography dwells on the frustrations of working for the non-mainstream press. The beauty of the Internet, Oh realized, is that the establishment couldn\'t control it. \"OhmyNews wasn\'t created just for money,\" he says. \"It was created to change society.\"

In fact, the student-movement generation now holds power in South Korea. (President Roh is a former human-rights lawyer and opponent of the dictatorship.) But old networks live on in the media, politics and big business. And while the Asian financial crisis forced many chaebol to clean up their business practices, the process is hardly complete. Two Samsung executives were recently convicted of using illegal means to transfer control of the conglomerate from its chairman to his son. Chey Tae Won, chairman of oil-refining giant SK Corp., was jailed for securities and accounting fraud in 2003, yet shareholders demanding his resignation as chairman lost the battle. Oh sees the technology that drives OhmyNews as a natural challenge to old boys up to shady tricks: \"I thought if I raised the flag—Every citizen a reporter!—it could even the balance.\"

When the 21 world leaders don traditional South Korean durumagi coats for APEC\'s closing day photo-op in Pusan, they will pose in a specially built Korean-style garden near the beach resort of Haeundae. If he can, Roh should get them out of the garden to see the signs of Korea changing and opening: the young soldier in the Pusan train station toting a duffel bag in one hand, a fat copy of GQ (in English) in the other. Or the flier distributed to every diner at Seoul\'s Fresco restaurant, which reads (in English): \"We are proud of our fresh salad and pasta. In the near future, we\'ll be one of the numerous competitors in the Italian food market and create value for all the customers we serve.\" That\'s Korea today: ambitious as always, hyper-competitive, trying not only to keep up with the times but to create a new future—and everyone\'s infected with urgency, right down to the pizzerias.

 

타임 아시아판 커버스토리 11월7일자 ; 새로운 돌파구를 찾아서(Breaking Through)

지난달 서울대학교 병원에서는 세계줄기세포허브 개소식이 열렸다. 낡은 강의실에서였지만 행사는 철두철미 21세기적인 것이었다. 한국 줄기세포 은행은 당뇨병이나 파킨슨병의 새 치료법을 개발하려는 전세계 연구자들에게 복제된 배아줄기세포를 제공하게 된다. 홀을 가득 메운 초청인사 가운데는 노무현 대통령을 비롯해 복제양 돌리를 탄생시킨 영국의 이안 윌머트 박사 같은 복제와 줄기세포 연구 분야의 선두주자들도 있었다. 강의실에는 “세계의 희망. 한국의 꿈” 이란 펼침막이 걸려 있었다.

줄기세포은행은 세계적 뉴스가 되었고 이는 바로 요즘 한국의 꿈이기도 하다. VCR이나 전자렌지를 그저 베껴서 제조하는 나라가 아니라 첨단 과학국가로서 국제적인 인정을 받는 것이다. 제2의 도시 부산이 아펙 정상회담을 준비하는 가운데 한국은 과거와 미래 사이의 분수령에 서 있다. 전후 일본에서 가져온 수출중심적 경제모델은 경제성장을 일구어냈다. 1994년 인도네시아 보고르에서 열렸던 아펙 정상회의 때만 해도 한국은 1인당 국민소득 10,000달러로 정의되는 ‘선진국’ 문턱에 와 있는 나라로 알려졌다. 오늘날 한국은 세계적 수준의 기술(삼성전자, LG전자), 자동차(기아차, 현대차), 제철(포스코), 조선(현대중공업) 기업들의 본고장이다. 한국은 이제 초고속열차와 컴퓨터로 통제되는 김치냉장고의 나라가 되었다.

그러나 제조업과 수출에 대한 의존으로 말미암아 한국은 동일한 청사진을 따르고 있는 나라 특히 중국 같은 해외 경쟁국들에 대해 약점을 갖게 되었다.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는 한국경제의 문제점을 가차 없이 노출시켰다. 재벌의 경직되고 비밀스러운 경영방식, 부패와 정실, 그리고 한국 생산품의 대부분이 미국과 일본 기술에 기초하고 있다는 사실이었다. 지난해 한국경제는 4.6% 성장했으며 올해에는 4%로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비해 중국의 성장률은 9%를 넘고 있다.

1997년 금융위기로 한국인들은 다른 나라의 방식을 따라가는 것으로는 부족하다고 생각했다. 대신 자체적인 발명과 재능에서 동력을 찾는 선진적 경제를 창출하기로 했다. 이는 장벽을 허물고 개방한다는 아펙의 지향과도 맞아떨어진다. 전통적으로 고립되어 있었으며 외부세계에 대한 불신과 한이 많았던 나라로서는 주목할 만한 전환이다. 한국인들은 이제 해외 도처를 드나들고, 많은 외국어들을 배우며, 중국과 인도에서 터키와 필리핀에 이르기까지 온갖 곳에 투자하고 있다. 1989년 이전까지 일반 국민은 정부가 허가한 업무나 가족방문의 경우에만 여권을 받을 수 있었으며 해외투자는 ‘배신’과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혁신, 개방, 그리고 글로벌 무대 -특히 IT나 생명공학, 그리고 연예오락 등 많은 관심을 받으며 빠르게 진화하는 분야들- 에서 경쟁하려는 열의는 이제 국민적 구호가 되었다.

“한국인들은 자신을 ‘무모함’ ‘성급함’으로 자랑스럽게 묘사”

익숙지 않은 경제적 게임의 구도로 가는 데는 위험이 따른다. 그러나 한국인들은 “무모함(reckless)”, “성급함(hasty)” 같은 형용사로 자신들을 자랑스럽게 묘사한다. “한국은 머리만이 아니라 기본적 태도를 갖고 있다”고 황우석 박사는 말했다. 그는 지난 4월 세계줄기세포허브를 구상한 지 6개월 만에 결실을 끌어낸 사람이다. 척수 손상으로 고통을 받고 있는 환자나 파킨슨병을 앓는 환자들에게 이는 전혀 성급한 일이 아니다. 지난주 이 센터의 연구를 통해 혜택을 받게 될 사람들로부터 세포기증 신청을 접수하기 시작하자 과부하로 서버가 거의 다운되기에 이르렀다. 황 박사의 말을 들어보면 이러한 경제적 환골탈태에 원동력을 제공하는 일을 시급하게 추진하는 데는 하등 잘못이 없다. “우리는 다른 종류의 국가적 성장 동력원을 찾아야만 한다.”

하드웨어는 끝났다. 중국은 전세계 월마트나 까르푸에서 팔리는 인형들과 생활기기들을 만드느라 분주하다. (하지만 브랜드 있는 고가 제품들은 여전히 매력적이다. 삼성전자는 지난달 소매가 124,000달러(1억2천만원)인 폭 2미터의 PDP TV를 선보였다.) 한국의 주 자원은 두뇌이며 한국은 평균 이상이다. 젊은층에서 고등학교 1학년, 즉 10년 이상 교육을 받은 사람의 비율이 97%로 이는 세계 최고 비율이다. 한국 학생들의 수학실력은 핀란드에 이어 세계 2위다. 국민이 선진국가들의 국민들처럼 똑똑하고 교육이 잘 되어 있다면 더 높은 수준의 아이디어와 창의력을 가지고 경쟁할 수 있다.

요즈음 가장 관심을 받고 있는 한국 수출품 가운데 하나는 영화, TV프로, 팝 가수, 인터넷 게임 등 연예오락인데 이것도 재능의 승리다. TV연속극 ‘대장금’은 올해 홍콩 TV 역사상 최고의 시청률을 기록했으며 후진타오 중국 주석도 방문중인 한국 국회의원에게 자신도 팬이라고 말했다. 한국의 최고스타 장동건의 모습은 어디서나 볼 수 있게 되었다. 지난해 한국에서 사상 최고의 관객을 동원했던 <태극기 휘날리며>에 출연했던 장동건은 현재 미국-중국-한국이 합작한 거대예산 영화 ‘무극(The Promise)’에서 홍콩의 스타 세실리아 청의 상대역을 맡고 있다. ‘무극’은 중국 정부가 아카데미 외국영화상 경쟁부문에 출품하기 위해 선정한 영화다.

이러한 문화적 수출의 해외 인기는 “한류”라고 불려왔는데 현재 그 절정에 올라 있다. 올 1~9월 동안 55만 명의 관광객이 TV드라마가 촬영된 현장을 둘러보는 한류패키지 투어로 한국을 방문했다. 지금도 매시간 중국, 타이완, 일본, 홍콩, 미국에서는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인터넷으로 리니지게임을 하고 있다. 리니지는 서울에 있는 엔씨소프트가 개발한 컴퓨터 게임이다. 비나 보아 같은 가수들은 아시아 전역에 걸쳐 대단한 인기를 누리고 있다.

올해 1~6월 한국영화의 해외 흥행실적은 4,200만달러(2002년 1,500만 달러, 2004년 한 해 전체 5,800만 달러)에 달했으며 컴퓨터 게임 수출은 4,800만 달러(2004년 3,76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그래도 전자제품 수출에 비하면 미미하다. 올해 한국 전자제품 수출액은 1,000억 달러에 달할 전망이다.

반기문 외교 “11위 경제규모에 비해 5천년 역사는 잘 안 알려져”

그러나 돈이 다는 아니다. 반기문 외교통상부장관은 늦은 감이 있지만 한류가 한국에 존중감을 가져다줬다고 말한다. “모든 사람들은 우리가 세계에서 11번째 경제국가임을 알고 있다. 그러나 우리에게 5천년 역사가 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고 반 장관은 말했다. 성공회대 양기호 교수(정치학)도 “한류는 우리가 더 이상 약소국이 아님을 보여 준다”고 말한다.

한국인들은 그들의 예술이 한국 특유의 감성을 반영한다고 말한다. 한국 드라마에서는 가족관계가 잘 묘사된다. 일본에서 히트하고 있는 4개 TV연속극을 감독한 윤석호 프로듀서는 핍박에 대한 깊은 슬픔을 표현한 한국말인 ‘한’에 대해 얘기한다. “한국드라마들은 슬픔을 특히 잘 표현한다. ‘가을동화’의 작가는 원고를 쓸 때 울음이 나오곤 했다. 배우들도 연습 때 울기 시작했다.” 문화상품 수출을 장려하는 정부기금의 운영 책임을 맡은 영화제작자 신현택씨는 ‘한’의 또 다른 측면을 강조한다. 원한감정이 그것이다. 주한미군에서 일본정치인들에 이르는 모든 사람들에 대한 분노이다. “원한은 우리 민족감정의 일부”라고 그는 말한다. “우리에겐 이것을 표현하는 재능이 있다.”

신씨는 한류가 잦아들 것을 우려한다. 그가 말하는 해결책은 다른 아시아국가들의 영화업계에 적극적으로 합작과 교차수분(受粉)을 요청하는 것이다. “우리는 홍콩의 잘못을 되풀이하고 싶지 않다. 재키 찬(성룡)류의 액션영화들은 근사했다. 그러나 그런 영화들은 아시아 나머지 지역과 호흡을 같이 하지 않았다. 그래서 그들의 인기는 끝났다.” 바꿔 말해 한국은 이 분야에서 독불장군으로 나가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한국에는 헝그리정신…서구에서는 ‘15년간 365일 쉼없는 연구’ 못해”
황우석 박사의 시도 ‘가히 혁명적’으로 소개

세계줄기세포허브의 창설자 황우석 박사는 토요일 동트자마자 수술복으로 갈아입고 천장에서 강철케이블로 거꾸로 매달린 만삭의 암퇘지 옆에 서 있다. “준비됐어?” 그는 수술 팀에게 외친다. 황 박사는 돼지의 복부를 30cm 정도 베고 팔을 집어넣어 돼지의 자궁을 끌어낸다. 그 속에 복제된 검정색 새끼돼지가 떨고 있었다. 이 기술이 발전하면 돼지들은 언젠가는 다른 종의 이식에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인간의 장기를 돼지장기로 대체할 수 있게 된다는 얘기다.

황 박사는 지난 5월 당뇨 등 질병을 앓고 있는 환자들로부터 11개의 인간줄기세포 라인을 복제했다고 발표해 주요 뉴스를 장식했다. 그로부터 10주 후 그는 최초의 복제 개 ‘스너피’를 공개, 또다시 머릿기사를 제공했다.

황 교수는 인간을 복제할 의도는 없고 그것은 기술적으로 가능하지도 않다고 말한다. 그러나 그가 한국을 위해 꾀하는 변화는 가히 혁명적이라 할 수 있다. “우리가 국가를 발전시키려면 전혀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황 박사는 “선박과 반도체는 한국적 산업이 아니었다. 우리는 바깥세계에서 그것들을 도입했다”고 상기시킨다. “앞으로 전진하는 길은 한국인들만이 할 수 있는 방법으로 기술혁신을 추구하는 것이다. 우리는 36년 동안 일제의 점령을 당했고 한국전 때는 수많은 사람들이 죽었다.” 그 결과 다른 나라들이 따라잡기 힘든 “헝그리 정신(hungry fighting spirit)”을 갖게 됐다는 것이다. 그의 연구진은 15년 동안 일년 365일을 쉬지 않고 연구해 왔다. 그만큼 집중력과 근면이 진정 필요했다. 서양문화로서는 이해할 수도 없고 그런 시련을 견딜 수도 없다. “앞으로 수십 년 더 헌신하면 우리는 세계의 최선진국 중 하나로 발전할 것으로 굳게 믿는다. 이것이 나의 꿈이다.”

“오마이뉴스는 돈을 벌러 만든 게 아니고 사회변화를 위해 만든 것”

<오마이뉴스> 오연호 대표도 새로운 한국 건설을 원하고 있다. 오씨가 2000년 창간한 인터넷신문 오마이뉴스는 27명의 본사직원 외에 일반시민들이 제공하는 기사들을 올린다. 오씨는 이들을 시민기자 혹은 뉴스게릴라로 부른다. 전국 40,000명의 시민기자들이 하루 200 꼴로 기사를 쏟아낸다. 오마이뉴스 사이트에 기사가 뜨면 네티즌들은 댓글을 올려 즉각적 피드백과 토론이 이루어진다. 오씨는 과거 독재시절 때부터 영향력을 지녀 온 한국의 보수적인 주류언론의 힘을 축소하려 하고 있다. 그는 80년대 중반 한국에서 독재를 몰아내려 했던 반정부 학생시위세대다. 악명 높은 국가보안법 위반혐의로 88년부터 89년까지 형을 살았다. 그는 기득권층이 통제할 수 없는 인터넷의 매력을 깨달았다. 오마이뉴스는 “돈을 벌기 위해 만든 것이 아니고 사회변화를 위해 창설된 것”이라고 그는 말한다.

실제로 현재의 한국 집권세력은 학생운동세대이다. (노무현 대통령은 과거 독재에 반대한 인권변호사 출신이다.) 그러나 언론계, 정계, 대기업에는 옛 네트워크가 존재한다. 또 아시아금융위기로 많은 재벌들이 기업관행을 개혁할 수밖에 없었지만 그 과정이 끝났다고는 볼 수 없다. 삼성그룹의 임원 2명이 최근 그룹의 통제권을 이건희 회장으로부터 아들에게 이전하기 위해 불법적 수단을 동원한 혐의로 유죄판결을 받았고 최태원 SK 회장은 2003년 주식 및 회계 부정으로 투옥됐었다.

한국의 집권세력은 학생운동세력…재벌·언론·정계 구시대 네트워크도 여전

세계 21개국 지도자들은 부산 아펙 폐막식 때 한국 전통의상 두루마기를 입고 해운대 근처의 한국식 정원에서 포즈를 취할 것이다. 노 대통령은 가능하다면 지도자들을 정원에서 이끌어내 한국의 변화와 개방의 조짐들을 보게 해야 할 것이다. 부산 역에서 한손에는 캠핑용 가방, 다른 한손에는 두꺼운 GQ 잡지 1부를 들고 있는 젊은 병사라든가, 서울의 프레스코 레스토랑에서 모든 손님들에게 배포되는 전단광고라든가. 이 광고에는 이렇게 쓰여 있다. “우리는 신선한 샐러드와 파스타를 자랑합니다. 가까운 장래에 우리는 이탈리아음식시장에서 수많은 경쟁자들 중 하나가 되어 모든 고객들을 위한 가치를 창출할 것입니다.”

항상 야심적이고 경쟁심이 강하며 시대를 따라갈 뿐 아니라 새로운 미래를 창조하려 노력하는 모습, 이것이 오늘의 한국이다.

(타임지 기사는 해외홍보원의 번역을 참조했음)

 

근육대신 ‘머리’를 쓰는 한국
타임, 장동건 표지인물 싣고 ‘한국의 변화와 꿈’ 상세소개
        .article, .article a, .article a:visited { font-size:14px; color:#222222; line-height:24px; }         
▲ 아시아판 표지인물로 실린 영화배우 장동건.
[관련기사]
미국에서 발간되는 세계적 시사주간지 <타임> 아시아판이 한국의 영화배우 장동건을 표지인물로 싣고, ‘재창조되고 있는 한국( Reinventing Korea)’이란 제목의 표지 기사로 한국을 소개했다. 장동건과 함께 표지에 실린 기사는 “한국에는 영화부터 음악, 과학까지 창조의 새 물결로 넘실대고 있다” 는 부제를 달고 있다.

한국 배우가 타임지 표지를 장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앤서니 스피스와 도널드 매킨타이어 기자가 서울에 있는 세 사람의 기자(스텔라 김, 황인재, 김찬용)의 도움으로 작성한 7일자 타임자 표지기사는 ‘새로운 돌파구를 찾아서(Breaking Through)’라는 주제로, 한국이 그동안 산업화를 이루기 위해 제조업 위주로 힘을 써왔으나 이제 머리를 쓰는 것에 집중하고 있다고 한국경제의 변화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타임>의 기사는 아펙을 맞아 한국의 변화를 소개하면서, 한국경제가 기존에 일본과 같은 다른 나라에서 도입한 모델로 양적 성장을 해왔으나 1997년 IMF 구제금융 이후 질적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해 이제는 전자·자동차·철강·조선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의 기술력을 갖추게 된 ‘한국의 변화’를 다뤘다.

제조업과 수출 중심으로는 중국과의 경쟁을 피할 수 없고, 아이엠에프 때 드러난 것처럼 재벌의 비밀스런 경영방식, 부패와 정실에 의존해서는 성장이 어렵다고 본 한국은 “자체적인 발명과 재능에서 동력을 찾는 선진적 경제를 창출하기로 했다”고 이 기사는 한국의 변화를 설명했다.


기사는 황우석 교수의 줄기세포 허브가 베끼기 경제에서 첨단과학국가로의 국제적 인정을 뜻한다며, 황 교수의 연구업적과 발언을 비교적 상세히 설명했다.

황 교수는 “우리가 국가를 발전시키려면 전혀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하다”며 “선박과 반도체는 한국적 산업이 아니었다. 우리는 바깥세계에서 그것들을 도입했다”고 말했다. 황 교수는 “앞으로 전진하는 길은 한국인들만이 할 수 있는 방법으로 기술혁신을 추구하는 것이다. 우리는 36년 동안 일제의 점령을 당했고 한국전 때는 수많은 사람들이 죽었다”며 그 결과 다른 나라들이 따라잡기 힘든 “헝그리 정신(hungry fighting spirit)”을 갖게 됐다고 말했다. 기사는 황 교수의 연구진이 15년 동안 일년 365일을 쉬지 않고 연구해 온 사실을 전하며 서양문화에서는 이해할 수도, 그런 시련을 견딜 수도 없다고 적었다.

황 교수는 이 기사에서 “앞으로 수십 년 더 헌신하면 우리는 세계의 최선진국 중 하나로 발전할 것으로 굳게 믿는다”며 “이것이 나의 꿈”이라고 말했다.

기사는 또 한국이 연구실과 축구장에서처럼 다양한 분야에서 국제화하고 있다고 소개하며 미디어의 오마이뉴스 오연호 대표, 의약분야에서 황우석 교수, 연예분야에서 겨울소나타, 대장금, 가수 비를 예로 들고, 스포츠 분야는 박지성 선수의 사진을 실었다.

‘타임’은 기사 끄트머리에서 “항상 야심적이고 경쟁심이 강하며 시대를 따라갈 뿐 아니라 새로운 미래를 창조하려 노력하는 모습”이 아펙은 앞둔 ‘오늘의 한국’이라고 소개했다.

아래는 기사의 주요 부분 요약이다.

<한겨레> 온라인뉴스부 구본권 기자 starry9@hani.co.kr

좋아요! 싫어요!
twitter facebook me2day
245개(10/13페이지) rss
영어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65 [공통] <b>영어과 전학년 교과서, 지도서 모음 [2] 함영기 14482 2006.06.09 08:49
64 [공통] <b>영어과 좋은 수업 사례 5 사진 [4] 함영기 18808 2006.06.09 08:41
63 [공통] Students Learn Much From Newspaper Making 사진 함영기 6720 2006.06.03 10:51
62 [공통] [문장부호] 콜론(:)과 세미콜론(;)의 차이 함영기 19803 2006.05.29 08:53
61 [공통] [이지영의 굿모닝 팝스] 영어를 재미있게 공부하기에 딱 ~~ [2] 주이옥 9414 2006.04.07 15:50
60 [공통] 영어마을 14개 추가로 설립 중 사진 함영기 7402 2006.04.07 13:01
59 [영어] [영어] 미국에서 무료로 운영되는 영어 독해, 단어, 청취 사이트 [3] 함영기 9518 2006.03.11 07:43
58 [영어] [영어] 국내 영어 능력 평가 시험 어떤 게 있나 함영기 7234 2005.12.07 08:19
>> [영어] [TIME] South Korea used manufacturing muscle... 사진 [1] 함영기 10549 2005.11.10 21:13
56 [영어] [영어] Guess from Context(문맥으로부터 짐작하기) 함영기 7575 2005.10.21 16:18
55 [영어] [영어] 이렇게 하면 잘할수 있어요 사진 함영기 10051 2005.10.10 08:14
54 [영어] [영어] Self-Confidence Key to Successful Presentation 사진 함영기 7972 2005.09.20 11:34
53 [영어] [영어] 영어학습에 도움이 되는 사이트 모음 사진 함영기 20941 2005.05.17 09:28
52 [영어] [영어] 상황별 영어 회화 동영상 강좌 35편 사진 [2] 함영기 9298 2005.05.12 21:42
51 [영어] [영어] 영어일기, 학원 표현하는 단어는 institute 함영기 8142 2005.04.26 05:38
50 [영어] [영어] 어떤 방법으로 영어 일기를 쓸까? 함영기 9103 2005.04.25 19:43
49 [영어] [영어] 문구 관련 어휘 함영기 7671 2005.04.25 19:36
48 [영어] [영어] 직업 관련 어휘 [2] 함영기 16547 2005.04.25 19:36
47 [영어] [영어] 학교 관련 어휘들 함영기 10356 2005.04.25 19:35
46 [영어] [영어] 암기해 두어야 할 중요 표현 300 함영기 16898 2005.04.25 19:34